본문 바로가기
초등수학 학습 교재

플라토 F단계 - 6학년

by 책사랑아이들 2023. 5. 4.
반응형

플라토는 즐거운 수학 사고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씨투엠에서 개발되어진 교재입니다.

플라토 F단계는 6학년을 권장으로 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조금 먼저 할 수도 천천히 할 수도 있습니다.

 

▶플라토 F단계 - 6학년

 

플라토 F단계입니다.

유아기 S단계에서 시작해서 마지막 단계 F단계까지 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포스트를 보시는 분들은 마지막까지 성실하게 열심히 잘해 오신 분들입니다.

우리 모두 칭찬합시다!!!

 

문제집 같은 경우는 비슷한 내용이 출판사에 따라 구성과 순서가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학년에 따라 다른 문제집을 할 수도 있지만, 연결해서 하나의 시리즈로 쭉 하는 것도 좋습니다.

플라토로 시작을 했으면 플라토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립니다.

 

문제집은 필요할 때 바로 사는 것보다는 한 학기나 두 학기 정도 미리 사서 집에 두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들이 부담 느끼지 않느냐 는 의견도 있으시지만, 그냥 일반 책처럼 꽂아 놓으면 호기심에 아이들은 한 번씩 꺼내어서 보게 됩니다. 꼭 예쁘게 앉아서 연필을 잡고 책을 펼쳐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재미있는 소설책을 보듯이, 만화책을 보듯이 지나가면서 쓱~ 한번 보고 다시 꽂아두고, 지나가다가 발에 걸리면 한 페이지 보고 가고... 그러다가 그 책을 보는 시기가 되어서 본격적으로 "공부"라는 것을 하면서 볼 때는 조금 더 익숙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플라토 F단계

 

▶▶▶플라토 F단계 구성

 

F단계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F1 평면규칙 1주차 원주와 원주율
1일 원주
2일 원주율
3일 원주 구하기
4일 바퀴 굴리기
5일 반원의 둘레

2주차 원을 이용한 길이
1일 지름, 반지름 구하기 1
2일 지름, 반지름 구하기 2
3일 원 그리기
4일 격자 안 도형의 둘레
5일 여러 가지 도형의 둘레

3주차 원의 넓이
1일 원의 넓이 1
2일 원의 넓이 2
3일 원의 부분의 넓이
4일 정사각형 안의 원
5일 넓이가 큰 도형

4주차 원을 이용한 넓이
1일 무늬의 넓이
2일 격자 안 도형의 넓이
3일 도형 이동하기
4일 큰 도형에서 빼기
5일 도형 이동하여 빼기
F2 도형조작 1주차 직육면체의 겉넓이
1일 전개도의 넓이
2일 정육면체의 겉넓이
3일 직육면체의 겉넓이
4일 쌓기나무의 겉넓이
5일 겉넓이 비교

2주차 직육면채의 부피 1
1일 쌓기나무의 수
2일 쌓기나무 채우기
3일 쌓기나무의 부피
4일 직육면체의 부피
5일 모서리의 길이

3주차 직육면체의 부피 2
1일 부피 비교
2일 부피의 단위
3일 물체의 부피
4일 쌓기나무의 부피
5일 겉넓이와 부피

4주차 원기둥 겉넓이와 부피
1일 원기둥의 전개도
2일 전개도의 넓이
3일 원기둥의 겉넓이 1
4일 원기둥의 겉넓이 2
5일 원기둥의 부피
F3 입체설계 1주차 각기둥
1일 각기둥 찾기
2일 밑면과 옆면
3일 각기둥의 이름
4일 꼭짓점, 면, 모서리
5일 각기둥 자르기

2주차 각뿔
1일 각뿔 찾기
2일 밑면과 옆면
3일 각뿔의 이름
4일 꼭짓점, 면, 모서리
5일 각뿔 자르기

3주차 전개도
1일 전개도 접기
2일 각기둥의 전개도
3일 각뿔의 전개도
4일 빠진 부분 그리기
5일 전개도 완성하기

4주차 원기둥, 원뿔, 구
1일 원기둥, 원뿔, 구
2일 높이 비교
3일 한 바퀴 돌린 모양
4일 입체도형 자르기
5일 위, 앞, 옆
F4 공간지각 1주차 쌓기나무의 수
1일 바닥에 닿는 면
2일 쌓은 모양 찾기
3일 자리별로 세기
4일 층별로 세기
5일 쌓기나무의 수

2주차 위, 앞, 옆 모양
1일 위,앞, 옆 찾기
2일 위, 앞, 옆 그리기
3일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  1
4일 자리별로 쌓기
5일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 2

3주차 위, 앞 , 옆과 수
1일 앞, 옆 그리기
2일 자리별로 쌓기
3일 쌓기나무의 수 1
4일 쌓기나무의 수 2
5일 쌓기나무의 최대, 최소

4주차 큐브 연결
1일 큐브 붙이기
2일 같은 모양 찾기
3일 같은 모양 만들기
4일 2조각 붙이기
5일 조각 구분하기

 

 

▶▶▶ F4 - 공간지각

 

F4 - 공간지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전 단계에서는 쌓기 나무가 주로 3권 입체설계에서 나왔는데 F에서는 쌓기 나무로 공간지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그전 단계에서는 쌓아서 만드는, 즉 입체적으로 만들어 보는 것을 했었다면, 이번에는 쌓여 있는 모습으로 분석하고 알아보는 더 발전한 단계라는 것입니다.

쌓은 모양 찾기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쌓기나무의 최대, 최소

1주 차의 2일을 보면 바닥에 닿는 면 위에 각 자리에 쌓는 쌓기 나무의 수를 보고 만들어진 모양을 상상해 봅니다.

2주 차의 5일에서도 각 자리에 쌓아 올린 쌓기 나무의 수를 보고 만들어진 모양을 찾고 찾습니다,

3주 차의 5일에서는 쌓기 나무로 쌓은 모양을 위, 앞, 옆에서 본 그림을 보고 쌓기 나무의 개수를 추측해 봅니다.

가장 많은 경우와 가장 적은 경우를 생각해 봅니다.

 

큐브 붙이기같은 모양 찾기같은 모양 만들기
2조각 붙이기조각 구분하기

4주 차에는 쌓기 나무를 돌리거나 뒤집어보고, 회전시켜 보고 1조각이나 2조각을 붙여보기도 하고 구분시켜 보기도 합니다.

4주 차의 큐브연결을 하기 위해 1,2,3주 차의 내용을 학습하고 달려왔다고 할 수 가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 하면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우리가 가지고 놀던 쌓기 나무 블록으로 실제로 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실제로 쌓아서 돌려보고 뒤집어보고, 무너지면 다시 쌓아서 확인합니다.

 

 

▶▶▶F단계 마무리 하면서

F단계 할 정도가 되면 이 전 단계를 할 때보다 시간도 부족하고 할 것이 많아서 예전에는 신나고 재미있게 놀이로 느끼던 것을 학습으로 느끼면서 지루해질 수 있습니다.

책으로, 대충 연필로 쓱쓱 할 수도 있습니다.

쌓기 나무로 해 보는 것을 노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빨리하라고 닦달하지 마시고, 조금은 여유 있게 지켜주도록 해야 합니다.

 

F단계가 끝이 아니고, 6학년이 끝이 아니고, 중학과정의 기하로 달려가야 할 시기입니다.

 

 

 

 

반응형

댓글